(주)국제화건의 시설물유지관리 사업부입니다.
대구경관 재생 공법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영역의 지하에는 소위 Life Line이라 불려지는 수없이 많은 관로들이 우리의 삶을 지탱하고 있으며 이는 인체의 혈관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로도 수명이 있기 때문에 매설된 관로의 양과 비례하여 균열, 부식, 연결부의 이탈 등으로 점점 제 기능을 상실해 가는 관로 또한 수 없이 많은 실정입니다. 하지만 차량이 폭주(暴注)하는 도로에서 굴착을 통한 시설개량은 위험을 수반하고 교통과 생활 등의 사회 간접자본에도 큰 손실을 초래할 수 밖에 없습니다. 대구경관을 굴착하지 않고 빠르게 시공하는 스트립 라이닝공법은 이러한 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개발된 획기적인 공법입니다.
경질 염화비닐 재질의 스트립을 기존관의 내부에 밀착 시키면서 봉합재(조이너)를 사용해 나선형으로 제관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트립관과 기존관 과의 공극에 시공성이 뛰어난 고강도 몰탈을 주입하여 기존관, 충전몰탈, 스트립관의 3가지가 일체화된 복합관을 형성 하므로 관 내부 단면적의 축소를 최소화 하면서 관의 강도를 높여줍니다.
구분 | 명칭 | 규격 | 적용범위 | 특징 | 사용자재 |
---|---|---|---|---|---|
Case1 | SL-R | 보수 | 기존관의 성능개선 및 내구성 향상 요구시 | 통수단면의 축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음 | SL 공법용 자재 |
Case2 | SL-R | 보수보강 | 콘크리트 및 철근단면의 결손으로 구조적 보강이 필요한 관로의 보수, 보강 | 관로의 손상 상태에 따라 스페이서를 가공하여 시공함으로 10mm 철근을 150mm간격으로 배근한 효과가 있음 | SL 공법용 자재 * |
Case3 | SL-RE | 갱생 | 적절한 보수, 보강 시기를 지나 심각한 구조적 문제로 진행된 경우에 적용 | 구조계산에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피복을 결정하여 시공하며 재생관 자체로 신관과 동일한 내하력 발휘 | SL 공법용 자재+철근 |
부분시공 | 모두적용 | 대부분은 상태가 양호하고 부분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관로에 적용 | 부분적으로 시공하므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함 | 모두적용 |
* 대부분의 경우 스페이서로 보강이 충분하지만 철근단면의 결손이 심할 경우 철근보강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기존관에 단차, 굴곡, 휨, 공극이 있어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파괴한 흄관을 재생한 경우 신관이상의 강도를 가집니다.
관의 종류 | 관의 규격(mm) | 하중(kN/m) | 대비 | |||
---|---|---|---|---|---|---|
파괴하중 규격 KS 규격 | 신관 파괴 하중 시험치 | 재생관 파괴하중 시험치 | 3/1 | 3/2 | ||
원형관 A형 (보수) | Ø 1,200 | 71.7 | - | 156.8 | 2.19 | - |
원형관 A형 (보강) | Ø 1,200 | 71.7 | - | 164.8 | 2.30 | - |
원형관 B형 (보수) | Ø 1,500 | 134 | 131.8 | 137.2 | 1.02 | 1.04 |
원형관 B형 (보강) | Ø 1,500 | 134 | 133.1 | 199.92 | 1.49 | 1.50 |
PC BOX (보수) | 1,500 X 1,500 | - | 294.25 | 455.7 | - | 1.55 |
PC BOX (보강) | 1,500 X 1,500 | - | 294.49 | 485.1 | - | 1.65 |
재생관로는 기존관로 보다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합니다. 수리특성 시험결과 마찰계수의 감소로 인해 관 내경이 감소 했음에도 유량이 증가 하였으며 조도계수는 0.010이하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일반 콘크리트관의 경우 0.013)
재생관은 지하 10m의 지하수압인 1kgf/㎠의 내, 외수압에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재생관은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스트립관은 산, 알카리에도 강하고 내마모성 또한 경질 염화비닐관 이상입니다. 또한, 스트립 봉합부 및 관구 마감부는 고압수 세척을 하여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굴착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고 경제적이므로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합니다.
고압수 세척으로 시공 구간을 세척합니다.
충전재 주입용 스페이서 및 철근을 시공 구간의 관 전면에 설치합니다
스트립을 기존관 내부에 투입하고 관내에 밀착시켜, 나선형으로 제관 합니다.
제관전 설치한 스페이서의 공간을 주입호스의 통로로 이용 기존관과 스트립관과의 공극에 고강도 몰탈을 충전합니다.